본문 바로가기
WIL

3주차

by 일상코더 2022. 10. 9.

Spring 

DI(의존성 주입)

Ioc(제어권 역전)

bean

에 대해서 정리해 보았다.

 

https://1sangcoder.tistory.com/128?category=972158 

 

 

Spring 서버에서 객체를 JSON으로 변환 후 응답하기

JSON 응답 클라이언트는 서버를 거쳐서 DB에 접근한다. 클라이언트가 DB에서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해, 서버에게 데이터를 요청하면 서버에서는 클라이언트가 필요한 데이터 또는 그 데이터가 포

1sangcoder.tistory.com

https://1sangcoder.tistory.com/131?category=972158 

 

Memo api 구현

최대한 lombok 없이 구현해 보았다. Memo.java @Entity public class Memo extends Timestamped{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AUTO) private Long id; @Column(nullable = false) private Stri..

1sangcoder.tistory.com

https://1sangcoder.tistory.com/135?category=972158 

 

DI(Dependency Injection)

DI(Dependency Injection)  - 스프링이 다른 프레임워크와 차별화되어 제공하는 의존 관계 주입 기능으로  객체를 직접 생성하는 게 아니라 외부에서 생성한 후 주입 시켜주는 방식이다.  DI(의존성 주

1sangcoder.tistory.com

https://1sangcoder.tistory.com/136?category=972158 

 

Spring IoC

IoC = inversion of control : 제어권의 역전 일반적인 경우 의존성에 대한 제어권을 자기 자신이 가진다. 의존관계는 간단히 말해 new 라는 키워드를 통해 생성된다. public class Sample { private Samsung sams..

1sangcoder.tistory.com

 

아직은 읽어도 크게 무슨말인지는 확실히 이해가 되지 않는것 같다.

코드를 계속 짜보고 실행하고 부딫히면서 이해해 나가야겠다.

갈길이 멀다 화이팅이다.

'W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9주차  (0) 2022.11.22
6주차  (0) 2022.10.31
5주차  (0) 2022.10.24
4주차  (1) 2022.10.17
2주차  (0) 2022.10.0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