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킹9 라우터 라우터란? - 라우터는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여, 그 위치에 대한 최적의 경로를 지정하며 이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로 전향시키는 장치 이다. 이때 최적의 경로는 일반적으로는 가장 빠르게 통신이 가능한 경로이므로, 이것이 최단 거리 일수도 있지만, 돌아가는 경로라도 고속의 전송로를 통하여 전달이 되는 경로가 될 수 있다. 즉 라우터(Router)는 이름 그대로 네트워크와 네트워크 간의 경로 (Route)를 설정하고 가장 빠른 길로 트래픽을 이끌어주는 네트워크 장비이다. 라우터의 기능 - 네트워크와 네트워크를 연결함 -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 방화벽 - VPN(Virtual Private Network) - QoS(Quality of Service) 2023. 3. 4. 폴트 톨러런트(Fault tolerant)와 로드 벨런싱(Load balancing) 폴트 톨러런트(Fault tolerant)란? - 네트워크 상에 어떤 문제가 발생할 때를 대비해서 미리 장애 대비를 해놓는 것을 말한다. ex) PC방 구성이 라우터 한대와 스위치 몇 대로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 할 때 만약 라우터가 고장 난다면? -> 인터넷 회선이 살아있어도 사용자들은 인터넷을 사용 할 수가 없다. 만약 라우터가 두 대라면? -> 하나의 라우터가 죽었을 때를 대비해서 다른 한 대를 가지고 있으면 고장난 라우터를 대체 할 수 있다. ->이 개념이 폴트 톨러런트(Fault Tolerant) -> 그냥 라우터를 한 대 더 가지고 있다가 고장나면 교체하는 것이 아니라, 라우터 두대로 네트워크를 구성한 후 한대가 죽었을 때 자동으로 다른 라우터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진정한 의미의 폴트 톨러런트.. 2023. 3. 1. TCP/IP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 꼭 필요한 프로토콜 IP(Internet Protocol) - 이 세상에서 나만을 위한 유일한 것 - IP 공인 주소를 나눠주고 관리해주는 기관 NIC(Network Information Center) - 2진수 8자리 4묶음, 10진수(0~255) 네 자리 2023. 3. 1. 프로토콜(Protocol) 프로토콜이란? 컴퓨터끼리 서로 통신하기 위해서 꼭 필요한 서로간의 통신 규약 또는 통신 방식에 대한 약속으로 프로토콜이 같은 것끼리만 대화 즉 통신이 가능하다. 프로토콜의 종류 1. TCP/I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2. IPX(Internetwork Packet Exchange) 3. AppleTalk(맥) 2023. 2. 25. OSI 7 계층 (OSI Seven Layer)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Seven Layer란? -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ISO)라는 곳에서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개의 단계로 나눈 것 - Application Layer (애플리케이션 계층) - Presentation Layer (프레젠테이션 계층) - Session Layer (세션 계층) - Transport Layer (전송 계층) - Network Layer (네트워크 계층) - Data Link Layer (데이터 링크 계층) - Physical Layer (물리 계층) 네트워크를 OSI Seven Layer로 나눈 이유? 1. 데이터의 흐름이 한눈에 보인다. 2. 문제를 해결하기 편리하다... 2023. 2. 25. 맥 어드레스(MAC Address) MAC(Media Access Control) = 미디어 액세스 컨트롤 - 컴퓨터는 네트워크 상에서 서로를 구분해서 인식해야함 - 즉, 통신을 위해서는 서로를 구분할 일종의 주소가 필요함 - 이 역할을 담당하는 주소가 MAC 주소 - 인터넷은 TCP/IP로 통신을 하고 따라서 통신을 위해서 IP 주소를 사용함(이 경우에도 맥 어드레스를 사용함) - IP 주소를 다시 MAC으로 바꾸는 절차(ARP : Address Resolution Protocol)를 밟는다. MAC 어드레스 예시 (8자리마다 하이픈(-), 콜론(:), 점(.)으로 구분 00-60-97-8F-4F-86 00:60:97:8F:4F:86 0060.978F.4F86 모두 같은 호스트를 나타냄 - 48bit의 주소를 갖게 되는데 이 주소는 랜카.. 2023. 2. 25. 토큰링(TokenRing) 토큰링이란? - 네트워크에서 한 PC만(토큰을 가지고있는)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실어 보낼 수 있다. - 한 네트워크에 토큰 한개 - 토큰을 가지고 있는 PC에서 토큰을 다 보내고 나면 바로 옆 PC에게 전달 - 내가 지금 보낼 데이터가 있고 다른 PC는 보낼 데이터가 없어도 토큰이 없으면 보낼수 없다는 단점 존재 - 우리 나라에선 별로 쓰이고 있지 않음 2023. 2. 25. 이더넷(Ethernet) 이더넷이란? - 네트워킹의 한 방식 - CSMA/CD라는 프로토콜을 사용해서 통신 CSMA/CD(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Detection)란? - 대충 알아서 눈치로 통신하자 - 캐리어(네트워크 상에 나타나는 신호)가 있는지를 감지 = Carrier Sense - 네트워크상에 통신을 하고 있으면 자기가 보낼 정보가 있어도 못 보내고 기다린다. - 네트워크에서 통신이 없어지면 눈치를 보다가 무조건 자기 데이터를 네트워크 상에 실어서 보냄 - 두 개 이상의 PC나 서버가 동시에 네트워크 상에 데이터를 실어 보내는 경우 = Multiple Access(다중 접근) - Multiple Access로 데이터를 동시에 보내다가 부딪치는 경우 = Collision이 발.. 2023. 2. 25. 네트워킹(인터넷, 인트라넷, 엑스트라넷) 네트워킹 이란? "서로 연결하는 것" 연결하기만 한다고 네트워킹이 되지 않는다. 정보와 자원을 공유하기 위해서서로 연결된 장비들끼리 서로 대화를 주고 받을 수 있어야 한다. => 한마디로 정의 하면 "장비들을 서로 대화가 가능하도록 묶어주는 것" 인터넷이란? 인터넷(InterNet)의 인터(Inter)라는 말은 연결을 의미한다. -> 인터넷 = 여러개의 네트워크를 묶었다. 인터넷의 특징 하나의 *프로토콜만 사용한다. (TCP/IP) 익스플로러나 크롬과 같은 웹 브라우저를 이용해서 인터넷을 탐험한다. 필요한 정보는 무엇이든지 있다. 인트라넷이란? - 인트라(intra) = 내부의 -> 내부의 네트워크 -> 특정 회사의 사람들에게만 사용이 허가된 사내 네트워크 엑스트라넷이란? - 인트라넷과 거의 유사 하지만.. 2023. 2. 2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