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 & c++63

C언어 순환문 개념 #include main() { int i; int sum = 0; //합친 값을 담을 변수 선언, 초기화 for(i = 1; i 2022. 6. 30.
C언어 조건문 개념 #include main() { int x; int y; x = 20; y = 10; if( x > y ) //조건식이 참인경우 { printf("x의 값이 y보다 큽니다."); //결과값 } else //조건식이 거짓인 경우 { printf("x의 값이 y보다 작거나 같습니다."): } } 2022. 6. 30.
C언어 연산자 개념 #include main() { int x; int y; x = 10; y = -x; if( x > y) { printf("x의 값이 y보다 큽니다."); //결과값 } else { printf("x의 값이 y보다 작거나 같습니다.); } } 연산자의 종류 대입 연산자 = 사칙 연산자 +, -, *, /, % 부호 연산자 +, - 증감 연산자 ++, -- 관계 연산자 , ==, =, != 논리 연산자 ||, &&, ! 조건 연산자 ? : 쉼표 연산자 , 비트 연산자 |, &, ~, ^, C언어 프로그래밍에서 사용되는 연산자는 수학에서 사용되는 연산자와 기능이 같다. x = 10; 에서 '='는 같다라는 의미가 아니라 왼쪽값을 오른쪽 값에 대입한다는 의미 (10을 x에 대입한다). 2022. 6. 30.
C언어 상수형 개념 #include #define X 1 //상수(constant) X 정의 #define PI 3.141592 //상수(constant) PI 정의 main() { double z; z = X + PI; printf("%f", z); } 1. 프로그램에서 발생할 수 잇는 문제의 위험성 등을 줄여줄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한다. 2. 프로그램을 시작하고 종료할때까지 값이 변하지 않아야 하는 경우 적합하다. 3. 상수명을 정의할 때는 대문자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관례이다. 2022. 6. 30.
변수형 개념 #include main() { int x; //int형 변수 x 선언 int y; //int형 변수 y 선언 int z; //int형 변수 z 선언 x = 1; // x 변수 초기화 y = 2; // y 변수 초기화 z = x + y; // z 변수 초기화 printf("%d", z); // %d = decimal(정수) 출력 } C언어 변수형의 종류 1. 문자형 char 2. 정수형 int, short 3. 실수형 float, double 4. 논리형 boolean 5. 문자열형 char[ ], char* C언어의 특징 1. C언어 프로그래밍에서 변수를 사용하려면 반드시 정의를 해야한다. 만약 int x;를 정의 하지 않으면 'undeclared identifier' 에러 발생 ↕ 파이썬(python.. 2022. 6. 30.
C언어 프로그래밍의 기본 틀 #include main() // C프로그램은 main 함수에서 시작되어 main 함수로 종료됩니다. { //함수의 시작 printf(" Hello, World"); // printf 함수를 이용해서 Hello, World 출력 } //함수의 끝 C언어의 역사 C언어는 Bell 연구소에 근무했던 데니스 리치가 1972년에 개발했다. C언어 개발의 목적은 UNIX라는 운영체제를 만들기 위한 것이었다. Bell 연구소에서 최초로 개발하였기 때문에 B언어라고 불렸고, B언어를 계승하여 C 언어가 탄생했다. 2022. 6. 30.
삼각형 별찍기 -3 2022. 6. 28.
삼각형 별찍기 -2 2022. 6. 28.
삼각형 별찍기 2022. 6. 28.
직사각형 별찍기 2022. 6. 28.
퀵 정렬(Quick Sort) Goal - Quick Sort 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Quick Sort 과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Quick Sort를 구현할 수 있다. - Quick Sort의 시간 복잡도를 계산 할 수 있다. 1. Quick Sort Summary '특정한 값을 기준으로 큰 숫자와 작은 숫자를 서로 교환한 뒤에 배열을 반으로 나눔' 2. Quick Sort Process - 배열 가장 왼쪽 원소를 고른다. 이렇게 고른 원소를 피벗(pivot) 이라고 한다. (key 값) - 피벗 앞에는 피벗보다 값이 작은 모든 원소들이 오고, 피벗 뒤에는 피벗보다 값이 큰 모든 원소들이 오도록 피벗을 기 준으로 배열을 둘로 나눈다. 이렇게 배열을 둘로 나누는 것을 분할(Divide) 이라고 한다. - 하나의 피벗이.. 2022. 6. 28.
삽입정렬(Insertion Sort) Goal - Insertion Sort 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Insertion Sort 과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Insertion Sort를 구현할 수 있다. - Insertion Sort의 시간 복잡도를 계산 할 수 있다. 1. Insertion Sort Summary '각 숫자를 적절한 위치에 삽입하는 방법' '다른정렬 방식들은 무조건 위치를 바꾸는 방식이었다면 삽입정렬은 필요할때만 위치를 바꿈' 2. Insertion Sort Process - 앞에있는 원소들이 이미 정렬이 되어있다고 가정 - 앞에 원소들 자리에서 적절한 위치를 찾음 3. Insertion Sort Coding 4. Insertion Sort 시간 복잡도 장점 - 삽입 정렬은 정렬이 되어있다고 가정 한다는점에서 특.. 2022. 6.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