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33

문자열형 상수(const char*) #include #define COUNTRY "대한민국" #define CUTE "This is cute" const char* soccer = "나는 축구를 좋아합니다."; int main(void) { printf("문자열 상수 COUNTRY : %s \n", COUNTRY); printf("문자열 상수 CUTE : %s \n", CUTE); printf("문자열 상수 SOCCER : %s \n", soccer); return 0; } 문자열 상수 COUNTRY는 상수이기 때문에 프로그램의 어디에서도 변경될 수 없다. 문자열 상수 CUTE는 상수이기 때문에 프로그램의 어디에서도 변경될 수 없다. 문자열 상수 soccer 값 또한 상수이기 때문에 프로그램 어디에서도 변경될 수 없다. const char.. 2022. 6. 30.
문자열형 변수(char*) #include int main(void) { char string[30] = "개발자로 끊임없이 성장하자"; char *p = "I love coding"; printf("문자열형 변수 string = %s \n ", string); // %d로출력하면 string의 시작 주소 출력 printf("문자열형 변수 p = %s \n", p); // %d로 출력하면 p가 가리키고 있는 주소 출력 return 0; } 문자열을 정의하는 방법 = char [ ], char* 두가지의 차이점 string = 문자열 변수 p = 문자열 상수 ("I love coding")의 시작주소 문자열과 메모리의 구조 'I' ' ' 'l' 'o' 'v' 'e' ' ' 'c' 'o' 'd' 'i' 'n' 'g' '\0' ↑ ch.. 2022. 6. 30.
정수형 변수(int) #include main() { int n; //int 형 범위 = -2,147,483,648 ~ 2,147,483,647 unsigned int k; //unsigned int 형 범위 = 0 ~ 4,294,967,295 int i; n = 2000000000; k = 4000000000; i = 'a'; printf("정수형 변수 n의 값은 %d \n", n); //결과값 20억 printf("정수형 변수 k의 값은 %d \n", k); //결과값 40억 printf("정수형 변수 i의 값은 %d \n", i); // 'a' ASCII 코드값 '97' } int형 외의 정수형 변수 short -32768 ~ 32767 unsigned short 0 ~ 65535 long -2,147,483,648 ~.. 2022. 6. 30.
문자형 변수 (char) #include main() { char c; //default값이 "signed" 범위 = -128 ~ 127 unsigned char k; //unsigned 범위 = 0 ~ 255 char kk; // ASCII 알파벳 소문자 a = 97; c = 200; k = 200; kk = 'a'; printf("문자형 변수 c = %d \n", c); // 결과값 = -56 범위값보다 크기때문에 (overflow) printf("문자형 변수 k = %d \n", k); // 결과값 = 200; 범위값에 들어감 printf("문자형 변수 kk = %d \n, kk); // 결과값 = 97 } 아스키(ASCII) =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문자 값으로 각각의 문자 값은 전 세계적으로 동일하게 규정되어 있다. - .. 2022. 6. 30.
컴파일 개념 컴파일러(compiler) 는 프로그래머가 입력한 코드에 에러가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여 목적코드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목적코드는 링커 라는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으로 변환된다. 소스코드(.c) -> 컴파일러 -> 목적코드(.obj) -> 링커 >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exe) C 프로그래밍 개발 과정 1단계 - 에디터를 사용하여 소스 코드를 입력합니다. 2단계 - 컴파일러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컴파일합니다. 3단계 - 링커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링크합니다. 4단계 - 프로그램을 실행합니다. 2022. 6. 30.
C언어 함수 개념 #include int plus(int n); //plus 함수 선언 int main(void) { printf("%d ", plus(10)); //함수 호출, 함수 결과 값 출력. 결과 값 = 55 return 0; } int plus( int n) // 리턴형 int , 함수명 plus, int형 매개변수(parameter) 선언 { int i ; int sum = 0 ; // 합을 구할 sum 변수 선언, 초기화 for(i = 1; i 연산 -> 결과 출력 2022. 6. 30.
C언어 순환문 개념 #include main() { int i; int sum = 0; //합친 값을 담을 변수 선언, 초기화 for(i = 1; i 2022. 6. 30.
C언어 조건문 개념 #include main() { int x; int y; x = 20; y = 10; if( x > y ) //조건식이 참인경우 { printf("x의 값이 y보다 큽니다."); //결과값 } else //조건식이 거짓인 경우 { printf("x의 값이 y보다 작거나 같습니다."): } } 2022. 6. 30.
C언어 연산자 개념 #include main() { int x; int y; x = 10; y = -x; if( x > y) { printf("x의 값이 y보다 큽니다."); //결과값 } else { printf("x의 값이 y보다 작거나 같습니다.); } } 연산자의 종류 대입 연산자 = 사칙 연산자 +, -, *, /, % 부호 연산자 +, - 증감 연산자 ++, -- 관계 연산자 , ==, =, != 논리 연산자 ||, &&, ! 조건 연산자 ? : 쉼표 연산자 , 비트 연산자 |, &, ~, ^, C언어 프로그래밍에서 사용되는 연산자는 수학에서 사용되는 연산자와 기능이 같다. x = 10; 에서 '='는 같다라는 의미가 아니라 왼쪽값을 오른쪽 값에 대입한다는 의미 (10을 x에 대입한다). 2022. 6. 30.
C언어 상수형 개념 #include #define X 1 //상수(constant) X 정의 #define PI 3.141592 //상수(constant) PI 정의 main() { double z; z = X + PI; printf("%f", z); } 1. 프로그램에서 발생할 수 잇는 문제의 위험성 등을 줄여줄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한다. 2. 프로그램을 시작하고 종료할때까지 값이 변하지 않아야 하는 경우 적합하다. 3. 상수명을 정의할 때는 대문자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관례이다. 2022. 6. 30.
변수형 개념 #include main() { int x; //int형 변수 x 선언 int y; //int형 변수 y 선언 int z; //int형 변수 z 선언 x = 1; // x 변수 초기화 y = 2; // y 변수 초기화 z = x + y; // z 변수 초기화 printf("%d", z); // %d = decimal(정수) 출력 } C언어 변수형의 종류 1. 문자형 char 2. 정수형 int, short 3. 실수형 float, double 4. 논리형 boolean 5. 문자열형 char[ ], char* C언어의 특징 1. C언어 프로그래밍에서 변수를 사용하려면 반드시 정의를 해야한다. 만약 int x;를 정의 하지 않으면 'undeclared identifier' 에러 발생 ↕ 파이썬(python.. 2022. 6. 30.
C언어 프로그래밍의 기본 틀 #include main() // C프로그램은 main 함수에서 시작되어 main 함수로 종료됩니다. { //함수의 시작 printf(" Hello, World"); // printf 함수를 이용해서 Hello, World 출력 } //함수의 끝 C언어의 역사 C언어는 Bell 연구소에 근무했던 데니스 리치가 1972년에 개발했다. C언어 개발의 목적은 UNIX라는 운영체제를 만들기 위한 것이었다. Bell 연구소에서 최초로 개발하였기 때문에 B언어라고 불렸고, B언어를 계승하여 C 언어가 탄생했다. 2022. 6.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