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33

폼 관련 요소(FORM)2 type = file - 파일을 서버에 올릴때 사용 type = submit - form의 값을 전송하는 버튼 type = reset - form의 값을 초기화 하는 버튼 type = image - 이미지를 삽입할 수 있는 버튼(submit과 동작이 동일함) - 이미지 관련 속성인 src, alt 속성이 반드시 필요함 - width, height 속성도 적용할 수 있다. type = button - 아무 기능이 없는 버튼 2022. 7. 7.
폼 관련 요소(FORM) 폼 요소 - 서버에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요소 - 내용이 없는 빈 요소이며 type속성을 통해 여러 종류의 입력 양식으로 나타냄 type 속성 text = 아이디, 이름, 주소, 전화번호 등 단순한 텍스트를 입력할 때 사용 password = 암호 같은 공대할 수 없는 내용을 입력할때 사용 radio = 라디오 버튼을 만들 때 사용 checkbox = 체크 박스를 만들 때 사용, 중복 선택 가능 라디오 버튼과 체크박스, checked, name 속성이 존재한다 checked 속성은 값이 존재 하지 않은 boolean 속성 (값이 존재 = true, 값이 없음 = false) name 속성은 라디오 버튼과 체크박스를 그룹화 시켜주는 속성 2022. 7. 7.
표(TABLE) tag →column(열) ↓row(행) - = 데이터 셀 (table-column) - = 제목 셀을 나타내는 태그 - = 행을 나타내는 태그(table-row) - = 표 - = 표의 제목을 나타내는 태그 - = 제목 행을 그룹화 하는 태그 - = 바닥 행을 그룹화 하는 태그 - = 본문행을 그룹화 하는 태그 - rowspan = 행(세로) 병합 - colspan = 열(가로) 병합 * HTML5 : 의 위치가 앞에 와도 되고, 뒤에 와도 상관 없음 values 1 2 3 4 5 6 결과값 2022. 7. 6.
이미지 (IMAGE) 태그 img 태그 - 문서에 이미지를 삽입하는 태그, 닫는 태그가 없는 빈태그 src 속성 - img의 필수 속성으로 이미지의 경로를 나타내는 속성 alt 속성 - 이미지의 대체 텍스트를 나타내는 속성이다. - src속성과 마찬가지로 필수 속성 width/height 속성 - 이미지의 가로/세로 크기를 나타내는 속성 - 자동으로 픽셀 단위로 계산된다. - 없으면 이미지 원본 크기대로 노출, 둘중 하나만 선언하면 선언한 속성의 크기에 맞춰 자동으로 비율맞춰짐 2022. 7. 6.
리스트 (ul, ol, dl) ul(unordered list) - 태그는 순서가 없는 리스트를 표현할 때 사용한다. ol (ordered list) - 태그는 순서가 있는 리스트를 표현할 때 사용한다. dl(definition/description list) - 태그는 용어와 그에 대한 정의를 표현할 때 사용 한다. 2022. 7. 6.
CONTAINER (div, span) div 태그 - 블록 레벨 태그 (기본적으로 한줄을 생성해서 내용을 표현) - division (나누다) span 태그 - 인라인 레벨 태그(블록 레벨 요소의 한 줄 안에서 표현) - spanned (차지하다) 2022. 7. 6.
앵커(ANCHOR) 앵커(ANCHOR) 태그 다른 문서로 이동할 수 있는 링크를 생성한다. href 속성 링크를 만들기 위해 는 반드시 href(hypertext reference)속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 ex) 2022. 7. 6.
제목 태그(heading tags), 단락 태그(paragraph) 제목 태그 제목(heading)태그는 문서 내에 제목을 표현할 때 사용한다 태그 이름은 heading을 줄여서 h로 쓰며, 제목의 레벨에 따라서 ~까지 있다. 단락 태그 단락(paragraph) 태그는 paragraph 를 줄여서 p로 사용한다. 개행 태그 HTML은 한 칸 이상의 공백 및 개행을 무시하기 때문에 실제 코드창에 개행을 해도 화면에 나타 나지 않는다. 따라서 개행을 위해 쓰이는 태그가 태그 이다. (linebreak) 2022. 7. 6.
병합 정렬(Merge Sort) Goal - Merge Sort 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Merge Sort 과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Merge Sort를 구현할 수 있다. - Murge Sort의 시간 복잡도를 계산 할 수 있다. 1. Merge Sort Summary '반으로 쪼개고 나중에 합치기' 시간 복잡도 O(N * logN)을 보장해줌 2. Merge Sort Processing 1. 작은 순서대로 배열에 삽입 2. 남은 데이터 삽입 3. 정렬된 배열을 삽입 3. Merge Sort Coding #include int number = 8; int sorted[8]; //정렬 배열은 반드시 전역 변수로 선언 void merge(int a[], int m, int middle, int n) { int i = m; .. 2022. 7. 1.
문자열형 상수(const char*) #include #define COUNTRY "대한민국" #define CUTE "This is cute" const char* soccer = "나는 축구를 좋아합니다."; int main(void) { printf("문자열 상수 COUNTRY : %s \n", COUNTRY); printf("문자열 상수 CUTE : %s \n", CUTE); printf("문자열 상수 SOCCER : %s \n", soccer); return 0; } 문자열 상수 COUNTRY는 상수이기 때문에 프로그램의 어디에서도 변경될 수 없다. 문자열 상수 CUTE는 상수이기 때문에 프로그램의 어디에서도 변경될 수 없다. 문자열 상수 soccer 값 또한 상수이기 때문에 프로그램 어디에서도 변경될 수 없다. const char.. 2022. 6. 30.
문자열형 변수(char*) #include int main(void) { char string[30] = "개발자로 끊임없이 성장하자"; char *p = "I love coding"; printf("문자열형 변수 string = %s \n ", string); // %d로출력하면 string의 시작 주소 출력 printf("문자열형 변수 p = %s \n", p); // %d로 출력하면 p가 가리키고 있는 주소 출력 return 0; } 문자열을 정의하는 방법 = char [ ], char* 두가지의 차이점 string = 문자열 변수 p = 문자열 상수 ("I love coding")의 시작주소 문자열과 메모리의 구조 'I' ' ' 'l' 'o' 'v' 'e' ' ' 'c' 'o' 'd' 'i' 'n' 'g' '\0' ↑ ch.. 2022. 6. 30.
정수형 변수(int) #include main() { int n; //int 형 범위 = -2,147,483,648 ~ 2,147,483,647 unsigned int k; //unsigned int 형 범위 = 0 ~ 4,294,967,295 int i; n = 2000000000; k = 4000000000; i = 'a'; printf("정수형 변수 n의 값은 %d \n", n); //결과값 20억 printf("정수형 변수 k의 값은 %d \n", k); //결과값 40억 printf("정수형 변수 i의 값은 %d \n", i); // 'a' ASCII 코드값 '97' } int형 외의 정수형 변수 short -32768 ~ 32767 unsigned short 0 ~ 65535 long -2,147,483,648 ~.. 2022. 6. 30.
문자형 변수 (char) #include main() { char c; //default값이 "signed" 범위 = -128 ~ 127 unsigned char k; //unsigned 범위 = 0 ~ 255 char kk; // ASCII 알파벳 소문자 a = 97; c = 200; k = 200; kk = 'a'; printf("문자형 변수 c = %d \n", c); // 결과값 = -56 범위값보다 크기때문에 (overflow) printf("문자형 변수 k = %d \n", k); // 결과값 = 200; 범위값에 들어감 printf("문자형 변수 kk = %d \n, kk); // 결과값 = 97 } 아스키(ASCII) =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문자 값으로 각각의 문자 값은 전 세계적으로 동일하게 규정되어 있다. - .. 2022. 6. 30.
컴파일 개념 컴파일러(compiler) 는 프로그래머가 입력한 코드에 에러가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여 목적코드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목적코드는 링커 라는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으로 변환된다. 소스코드(.c) -> 컴파일러 -> 목적코드(.obj) -> 링커 >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exe) C 프로그래밍 개발 과정 1단계 - 에디터를 사용하여 소스 코드를 입력합니다. 2단계 - 컴파일러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컴파일합니다. 3단계 - 링커를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링크합니다. 4단계 - 프로그램을 실행합니다. 2022. 6. 30.
C언어 함수 개념 #include int plus(int n); //plus 함수 선언 int main(void) { printf("%d ", plus(10)); //함수 호출, 함수 결과 값 출력. 결과 값 = 55 return 0; } int plus( int n) // 리턴형 int , 함수명 plus, int형 매개변수(parameter) 선언 { int i ; int sum = 0 ; // 합을 구할 sum 변수 선언, 초기화 for(i = 1; i 연산 -> 결과 출력 2022. 6. 30.